기초퍼머넨트&웨이브-노정순교수님
파마넨트 웨이브(permanent wave)의 역사(歷史)
마음대로3
2005. 3. 30. 22:33
파마넨트 웨이브(permanent wave)의 역사(歷史)
여성(女性)이 모발(毛髮)에 웨이브를 만들려는 소망은 먼 옛날부터 있었다고 보여진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가의 진흙을 머리에 바르고 둥근 나무 봉에 말아서(와인딩) 뜨거운 태양아래 건조시켜, 상당히 지속성이 있는 웨이브를 얻었다고 한다. 이것은 알칼리 토양의 알칼리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한 극히 소박한 파마의 기원(起源)이다.
이 알칼리와 열이라고 하는 것은 모발 케라틴의 시스틴결합을 파괴하여 웨이브를 만들기 쉽게 한다. 그러나 재결합은 시스틴결합 그 자체가 재현되는 것이 아니고 모발 속의 다른 결합이 식혀지는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단 웨이브는 고정되지만 모발은 차츰 손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리(原理)를 이용해서 처음으로 화학약품(化學藥品)을 사용한 파마넨트 웨이브가 되는 미용기술을 발표한 것은 1905년 영국의 찰스 네슬러(Charles Nessler,독일인)라는 미용사였다.
이때의 약품(藥品)은 붕사(硼砂)로 이것을 페이스트(paste, 반죽)상으로 모발에 도포하고, 와인딩(winding)하여 은박지로 싸서 가스아이롱(gas iron)으로 가열(加熱)하였다.
여성(女性)이 모발(毛髮)에 웨이브를 만들려는 소망은 먼 옛날부터 있었다고 보여진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강가의 진흙을 머리에 바르고 둥근 나무 봉에 말아서(와인딩) 뜨거운 태양아래 건조시켜, 상당히 지속성이 있는 웨이브를 얻었다고 한다. 이것은 알칼리 토양의 알칼리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한 극히 소박한 파마의 기원(起源)이다.
이 알칼리와 열이라고 하는 것은 모발 케라틴의 시스틴결합을 파괴하여 웨이브를 만들기 쉽게 한다. 그러나 재결합은 시스틴결합 그 자체가 재현되는 것이 아니고 모발 속의 다른 결합이 식혀지는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단 웨이브는 고정되지만 모발은 차츰 손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리(原理)를 이용해서 처음으로 화학약품(化學藥品)을 사용한 파마넨트 웨이브가 되는 미용기술을 발표한 것은 1905년 영국의 찰스 네슬러(Charles Nessler,독일인)라는 미용사였다.
이때의 약품(藥品)은 붕사(硼砂)로 이것을 페이스트(paste, 반죽)상으로 모발에 도포하고, 와인딩(winding)하여 은박지로 싸서 가스아이롱(gas iron)으로 가열(加熱)하였다.